카테고리 없음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마비된 정부 시스템 총정리
jullss
2025. 9. 27. 21:18
2025년 9월 27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대한민국 정부 전산망이 전면 마비되었습니다.
이번 사고로 수백만 명의 국민이 정부24, 홈택스, 모바일 신분증 등 주요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게 되었고, 국민 불편이 크게 확산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마비된 시스템 목록, 복구 현황, 그리고 재발 방지 대책까지 상세히 다룹니다.
1. 화재로 마비된 주요 국가 시스템 및 서비스
- 정부24 – 주민등록 등본·초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발급 불가
- 홈택스 – 세금 신고, 전자민원, 사업자등록 등 불가능
- 모바일 신분증 – 본인 인증 및 신분 확인 서비스 중단
- 국민신문고 – 민원 접수 및 조회 불가
- 세움터 – 전자정부 민원 서비스 중단
- 우체국 금융·우편 서비스 – 일부 금융 및 우편 서비스 마비
- 교통민원24 – 차량등록·운전면허 관련 민원 불가
- 국민건강보험 시스템 – 보험 조회 및 민원 처리 중단
- 농업e지 – 농업 관련 지원 서비스 마비
- 다수 부처 홈페이지 접속 불가
이번 화재로 전산센터 내 647개 시스템이 마비되었으며, 이 중 70여 개는 1·2등급 핵심 시스템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국민 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2. 정부 대응과 복구 현황
- 행정안전부 긴급 브리핑: “수일 내 복구 예정” 발표.
- 임시 오프라인 창구 개설로 일부 서비스 제한적 복구.
- DR(Disaster Recovery) 시스템 부재로 복구 속도 지연.
- 공공기관 IT 인프라 안전성 강화 필요성 대두.
- 카카오 먹통 사태 이후에도 재발 방지 체계 부족 지적.
3. 향후 재발 방지 및 개선 방향
- 전산센터 이중화: 동일 데이터·서비스를 다른 지역에 분산 배치.
- 클라우드 DR: 클라우드 기반 재난복구 시스템 구축.
- 통합 위기 안내 플랫폼: 국민이 쉽게 대체 경로 확인 가능.
- 공공 IT 예산 확대: 장기적 안전성 확보 중심 투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는 단순 장애를 넘어, 대한민국 공공 IT 시스템의 안전성을 점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번 사건은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체 경로 안내뿐 아니라, 정부가 재난복구 체계를 강화해야 함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장기적으로는 클라우드 DR과 전산센터 이중화 구축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