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에너지 캐시백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세요|2025년 참여조건·절약률 기준 총정리

jullss 2025. 7. 25. 14:03

전기요금을 아끼면 현금처럼 돌려주는 에너지 캐시백 제도, 들어보셨나요?
정부가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운영하는 이 제도는, 일정 기준 이상 전력을 절약하면 현금성 포인트(캐시백)를 돌려주는 방식입니다.
2025년에는 참여 가구와 상가의 절약 실적 기준이 일부 조정되며, 참여 절차도 간편해졌는데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쉽게 신청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에너지 캐시백 홈페이지 접속 방법 & 신청절차

에너지 캐시백 제도는 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에너지캐시백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홈페이지 접속 후 '참여하기' 클릭
2. 공동주택, 상가 중 선택
3. 세대별 전기요금 계량기 정보 입력
4. 인증 완료 후 자동으로 실적 비교 시작

단, 개별 계량기가 설치된 세대만 신청 가능하며, 실적은 자동으로 이전 동기 대비 비교되어 평가됩니다.

 

접속 경로:
👉 에너지 캐시백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한전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en-ter.co.kr

 

2025년 에너지 캐시백 참여 조건과 절약률 기준

2025년부터는 절약률 기준참여 인센티브가 다소 조정되었습니다.

 



참여 조건:
- 아파트 또는 빌라 등 공동주택 중 ‘개별 전기계량기’가 설치된 가구
- 또는 소규모 상가(점포용 전력 사용자)

절약률 기준:
- 과거 2년 동기 대비 ‘전력 절감’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함
- 예: 전월 대비 5% 이상 절약 시 1kWh당 50원 상당 캐시백 지급

지급 방식:
- 실적 집계 후 월별 포인트 환산
- 연말 정산 또는 포인트몰 활용 등으로 사용 가능

👉 더 자세한 기준은 한국에너지공단 제도 안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전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en-ter.co.kr

참여 전 자주 묻는 질문 & 실제 참여자 후기

Q. 우리집이 참여 가능한지 확인하려면?
→ 에너지 캐시백 홈페이지 상단 메뉴의 ‘참여 가능 여부 조회’ 메뉴를 통해 주소지 기반으로 조회 가능합니다.

Q. 얼마나 절약해야 실제 포인트를 받을 수 있나요?
→ 최소 3~5% 이상의 절약률을 달성해야 하며, 지역 및 계절별 기준은 약간씩 다를 수 있습니다.

Q. 실제로 얼마나 받았나요?
- “작년 여름철 에어컨 전기 줄였더니 3만 원 정도 돌려받았어요.” (서울/공동주택)
- “상가 매장에서 LED 조명 교체 후 약 7천 원 지급받았습니다.” (부산/소상공인)



전기를 아끼는 만큼 실적이 쌓이고, 실적이 곧 현금이 되는 제도입니다.
방치된 절약 기회, 지금 ‘홈페이지’에서 챙겨보세요!

에너지 절약 = 혜택인 시대.
에너지 캐시백 홈페이지에서 2025년 절약 습관을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