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전략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위해 150조 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애초 계획했던 100조 원에서 50조 원이 확대된 규모로, 민간·국민·금융권이 각각 참여해 총 150조 원을 마련합니다.
국민성장펀드란? 개념과 특징
국민성장펀드는 정체된 우리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미래 성장동력을 키우기 위한 초대형 정책 펀드입니다.
이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공식 발표 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믹타 정상회동] G20 뉴델리 정상회의 계기, MIKTA 회원국 정상들 만나 미래 협력 방안을 논의!
G20 뉴델리 정상회의 계기, MIKTA 회원국 정상들 만나 미래 협력 방안을 논의! ☞ 대통령실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 정책브리핑 | 브리핑룸 | 브리핑 자료
www.korea.kr
이번 펀드는 정부, 민간, 국민, 금융권이 함께 참여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산업 전반의 밸류체인 기업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150조 원 자금 조성 및 투자 구조
총 150조 원 중 절반은 첨단전략산업기금(75조 원), 나머지 절반은 민간·국민·금융권 자금(75조 원)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재정은 마중물 역할을 하며, 민간 자금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후순위 참여 방식을 취합니다.
지원 방식은 △직접 지분투자(15조 원) △간접 지분투자(35조 원) △인프라 투융자(50조 원) △초저리 대출 지원(50조 원)으로 다양하게 마련되었습니다.
투자 대상 산업과 지원 방향
향후 5년간 AI(최대 30조 원), 반도체(21조 원), 모빌리티(15조 원), 바이오(11조 원) 등 30대 선도 프로젝트 중심의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또한 수소, 이차전지, 로봇, 디스플레이, 미래차, 방산 등 전략산업 전반으로 지원이 확대됩니다.
관계부처 협의체를 통해 규제·세제·재정·금융·인력양성을 유기적으로 지원하며, 기업이 안심하고 장기 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국민성장펀드는 오는 12월 초 공식 출범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