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부터 적용되는 최저시급이 확정되었습니다.
시간당 10,320원. 많은 분들이 이 수치를 듣고 가장 먼저 궁금해하는 건 바로 월급으로 얼마를 받게 되냐는 것입니다.
근로자라면 당연히 자신의 급여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고, 사업주 역시 매달 나가는 인건비 부담을 미리 계산해두는 게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6년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과 함께, 주휴수당 포함 여부, 사업자 관점에서 본 인건비 시뮬레이션까지 정리해드립니다.
1. 2026년 최저시급, 월급으로 얼마?
2026년 기준 최저임금은 시급 10,320원입니다.
이 금액은 주 40시간 근로 기준 + 유급 주휴 8시간을 포함한 월 209시간 기준으로 환산하게 되어 있습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즉, 2026년 최저 월급은 약 215만 6,880원입니다. 이 월급 기준은 정규직 근로자, 알바생 모두 적용되며, 주휴수당 포함입니다.
👉 참고: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보도자료 보기
2026년 최저임금, 시급 1만 320원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책을 제공하는 포털사이트로 정책뉴스, 정책포커스, 국민이말하는정책, 정책기고, 문화칼럼, 사실은이렇습니다, 멀티미디어뉴스, 보도자료, 브리핑자
www.korea.kr
2. 주휴수당 포함된 최저시급 계산법
많은 알바생이나 파트타이머가 놓치는 것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1주일 개근한 경우에는 하루치 유급 주휴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주 20시간 근무 시:
- 주휴수당: 20 ÷ 5일 × 1일 = 4시간
- 실제 급여시간: 20시간 + 4시간 = 24시간
- 실제 시급: 총급여 ÷ 20시간으로 계산
👉 시급 계산 시 주휴수당 포함 여부를 확인하지 않으면 실제보다 적은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시급 계산기나 주휴수당 자동 계산기 등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3. 사업자 입장에서 본 인건비 시뮬레이션
최저임금이 오르면 자영업자나 소상공인에게는 직접적인 인건비 상승 압박이 생깁니다. 2025년 최저시급이 9,860원이었기 때문에, 2026년에는 약 4.7% 인상된 셈입니다.
월 기준으로 보면 인건비만 약 9만 원이 증가합니다. 여기에 4대보험 사용자 부담분 등을 합치면 1인당 실제 인건비는 약 260만 원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 인건비 구성 예시:
- 기본급: 2,156,880원
- 4대보험 사용자 부담: 약 20만 원
- 총 인건비: 약 265만 원
이를 대비하기 위해 고용장려금 또는 일자리 안정자금 등의 정책을 미리 검토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026년 최저시급은 10,320원, 월급으로는 약 2,156,880원입니다. 주휴수당, 근로시간, 고용 형태에 따라 실수령액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한 계산법을 확인하고 임금 협의나 근로계약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사업자라면 인건비 상승에 대비한 비용 시뮬레이션과 함께 정부 정책 활용 여부도 반드시 고려하세요.